참석자 : 윤종민, 조덕희, 지희연, 김지은, 김상일, 최형준, 이수진
발제 : 임원진 발제
조덕희 - 아랍시의 변천사
김지은 - 소비에트 정권 이후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분화 양상
뉴스쉐어링:
1. 이집트와 독일 고고학자의 합동조사를 통해 이집트에서 4천년 전 유물이 발견됨. 몇몇 유물은 이집트의 12-20 왕조와 관련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유물이 발견된 Matariya는 동부 카이로 지역에 위치해 있는 고대 헬리오폴리스 혹은 도시의 일부분이었음.
https://www.aljazeera.com/news/2018/11/egypt-archaeologists-discover-artifacts-dating-4000-years-181106161135907.html
2. Gazoduc 프로젝트에 다양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해당 프로젝트는 나이지리아에서부터 출발하여 서아프리카를 통과하는 가스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아프리카권역에서부터 유럽으로 바로 에너지자원을 수출하는 프로젝트임.
http://geopolis.francetvinfo.fr/maroc-nigeria-un-projet-de-gazoduc-pour-exporter-du-gaz-jusqu-en-europe-193347
3. 국제 유가가 점점 증가해 요르단 내 전기차를 도입하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음. 지난해에는 6천대의 전기차를 수입했으며, 전기차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전기차 충전기 사업, 특히 가정내 충전기 보급이 확대될 예정임. 정부에서도 이를 지원하고 각종 혜택 실시하고 있음.
http://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693
4. 오스트리아 수상 Kurz는 Kristallnacht(수정의 밤, 1938.11.7.) 8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에서 “오스트리아는 이스라엘에 대해 변치 않는 책임감을 지녀야 한다.”고 발언했음. 이는 과거 오스트리아에서의 나치 만행에 대한 역사적 책임감을 의미.
https://www.haaretz.com/world-news/europe/austria-has-responsibility-to-fight-for-jews-in-israel-chancellor-kurz-says-1.6636899
5. 예멘 내전이 국제사회 해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격화되고 있음. 특히 사우디 연합군은 수도 사나 근처에 있는 물류 중심지 호데이다를 공습하며 상태를 더욱 악화시킴. 현재 미국, 영국의 휴전협상에 아랑곳않고 공격하는 것을 미루어 이후 예멘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됨.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869488.html
6. 이란 대통령 하산 로하니가 지난주 미국이 발표한 대이란 제재가 이란 경제에 아무 영향을 주지 못했다고 말함. 미국은 이란 경제 고립 및 석유수출을 막기 위해 다시 제재를 가했으나, 이란은 이러한 공격이 이미 새로울 것이 없다고 대응한 것.
https://www.aljazeera.com/news/2018/11/rouhani-sanctions-effect-iran-economy-181110091457487.html
7. 사우디가 인도네시아 출신 가정부에 사형을 집행한 건으로 인해 양국 외교 갈등이 발생. 사형된 가정부는 고용주를 살해한 혐의를 받았으나, 이는 성폭력에 대한 저항으로 인한 것이라며 정당방위를 주장했었음.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사형집행에 대해 사전공지가 없었다며 공식적으로 항의함.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181101/1212244
8. 모로코가 서머타임(여름철에 표준시보다 1시간 시계를 앞당겨 놓는 제도)을 변동하지 않기로 10월 26일 결정함. 서머타임을 변동한 지난 2주 간 많은 혼란 및 시위가 발생했기에 정부는 이러한 저항을 최소화하고자 전문가 회의를 거친 후 서머타임을 원래대로 되돌리기로 함.
https://www.lci.fr/international/le-maroc-ne-passe-plus-a-l-heure-d-hiver-le-pays-deboussole-2104101.html
토론 : 4장 - 동서진영의 대결과 지역 이니셔티브 / 중동전쟁 진행 양상 및 당시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제재 노력에 대해 논의
회의 : 없음
'네피제 활동/MENA > 정규 세미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11/25] 정기 세미나 (0) | 2018.12.14 |
---|---|
[2018/11/18] 정기 세미나 (0) | 2018.12.14 |
[2018/10/14] 정기 세미나 (0) | 2018.12.06 |
[2018/10/07] 정기 세미나 (0) | 2018.12.03 |
[2018/09/30] 정기 세미나 (0) | 201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