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강보훈, 김지은, 차승호, 강동희, 김하민, 안준일, 양서연
독서활동: <중동은 왜 싸우는가?> '14장: 하산 알 반나, 무슬림형제단을 세우다', '15장: 찢겨진 정체성의 모자이크', '16장: 팔라비 왕정, 무너지다'
- 수니파 4대 법학파 중 가장 보수적이고 작은 규모를 가진 "한발리 학파", 욤 키푸르라고도 불리는 "제4차 중동전쟁"의 전개 과정, 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후 이슬람 원리주의 운동의 이정표를 제시한 "사이드 쿠틉"과 그의 저서 <길가의 이정표>, 아랍 민족주의와 관련된 개념인 "범아랍주의"와 "아랍 사회주의", "예멘"을 둘러싼 각국의 입장과 내부의 갈등, '이슬람공화국'이라는 독특한 체제를 가진 이란의 권력 구조 등 각자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토론을 진행.
뉴스쉐어링:
이스라엘(강동희)
이스라엘 정부는 2주 뒤 초, 중, 고 전학년의 개학을 허용하였음. 이달 초 이미 교육부 방침에 따라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등학교가 개학을 한 상황. 혹여 코로나19 상황의 악화로 다시 집에서 교육하는 상황으로 돌아갈 것에 대비해 현재 1년치의 수업을 촬영하고 있다고 이스라엘 교육부 부국장이 밝힘.
n.news.naver.com/article/052/0001443657
'예루살렘의 날' 기념일에 맞춰 이스라엘의 인터넷 홈페이지 수백개가 21일 아침 해킹을 당하였음. 이스라엘 내 사이버 보안업체 '체크포인트'는 터키, 북아프리카, 팔레스타인 자치지역인 가자지구 등의 무슬림 해커들이 벌인 공격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란과 관련된 흔적은 없다고 이스라엘 언론이 전함.
n.news.naver.com/article/001/0011626261
미국 민주당 상원의원 10여 명이 21일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베니 간츠 국방부 장관에게 요르단강 서안 합병을 추진하지 말라고 촉구하는 서한을 보냄.
n.news.naver.com/article/056/0010839845
시리아(김상엽)
미국이 21일 약 40대 분의 무기 등 수송품을 시리아 북동부의 미군부대에게 전달하였음. 해당 지역은 쿠르드족의 시리아민주군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임.
n.news.naver.com/article/003/0009875636
20일 시리아 반군의 마지막 거점인 이들립 주에서 러시아와 터키군이 12번째 공동순찰을 시행함. 지난 3월 정부군을 지원하는 러시아와 반군을 돕는 터키는 모스크바에서 회담하고 이들립 일대에서 휴전에 들어가기로 합의하며 M4 고속도로를 따라 남북으로 6km에 달하는 구간을 안전통로로 설정 후 양측이 공동 순찰하기로 합의했음
n.news.naver.com/article/001/0011623423
UN의 4번째 특사가 시리아를 두고 미-러 간의 대화를 촉구함. 최근 큰 충돌이 없기에 지금이 적기이며, 기회를 여러번 날렸던 과거의 전철을 밟지 않기를 조언함. 더불어 2015년 유엔 결의안(유엔 감시 하의 민주 선거)의 실행을 촉구함.
www.aljazeera.com/amp/news/2020/05/envoy-calls-russia-talks-syrian-war-200518202013621.html
터키(안준일)
29일부터 전국 모스크에서 중단되었던 금요 집단 예배가 재개됨. 지난 3월 터키 종교청 '디야네트'는 금요 예배를 중단 하였음. 한편 터키 교육부는 전국 학교의 온라인 수업을 6월 19일까지로 연장하기로 결정.
www.yna.co.kr/view/AKR20200519171300108?input=1195m
21일 터키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위원회를 열고 기준 금리를 기존 8.75%에서 8.25%로 0.5%포인트 인하한다 밝힘. 터키 당국은 금리 인하로 인해 리라화 약세가 계속되자 주요 20개국과 통화 스와프 체결 또는 확대를 추진중임.
www.yna.co.kr/view/AKR20200521177200108?input=1195m
22일 터키 관광부에 따르면 지난달 터키에 입국한 외국인 수가 지난해 4월 입국자 수와비교 시 99% 이상 감소한 것으로 드러남. 이는 지난달 초 모든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어 관광 산업이 마비됨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터키 정부는 관광산업을 재개하기 위해 다음 달 중순부터 한국 등 아시아 국가부터 국제선 운항을 재개하기로 결정함.
www.yna.co.kr/view/AKR20200522175600108?input=1195m
파키스탄, 이집트(김지은)
파키스탄 남부 도시 카라치에서 22일 오후 여객기 추락사건 발생하였음. 북부도시 라호르에서 카라치로 가던 중, 활주로를 1km 남겨두고 추락하였으며. 원인은 기계 결함으로 추정 중임. 탑승자 99명 중 97명이 사망하고 2명만이 생존하였으며, 여객기가 주택가로 추락하면서 집에 머무르던 여성과 아이들도 다친 것으로 알려짐.
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946175.html
22일 시나이에서 IS잔존세력과 이집트군과의 충돌이 발생하여 21명의 지하디스트 사망하였음. 이들은 일요일에 계획된 '이드 알 피트르' 행사에 맞춰 테러를 계획하고 있던 것으로 밝혀짐. 이집트 뿐 아니라 시리아, 이라크 등지에서도 IS세력과의 충돌이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IS는 이라크에서 빠른 속도로 세력을 회복하고 있음. IS는 22일 니네베에서 유력자 체포에 따른 보복으로 경찰 세 명을 사살했다고 발표하였음.
thearabweekly.com/recent-clashes-egypt-syria-and-iraq-shows-fight-against-isis-region-not-over
이집트가 관광산업 타격 등을 메우기 위해 한화 5조원 규모의 채권을 4, 12, 30년 3개의 만기 채권으로 분할하여 매각함.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채권 발행으로 Citi, SC은행 등이 참여했으며, 전 세계 투자자들이 큰 관심을 보여 각각 60억, 60억, 76억의 수요를 모았고 이로 인해 이자율이 50bp하락하였음.
egyptindependent.com/egypt-sells-5-bn-in-three-tranches-of-bonds/
카타르, 튀니지(강보훈)
튀니지가 코로나19 상황으로 취한 일부 봉쇄 조치를 점진적으로 해제하고 있음. 최근 확진자 증가세가 크게 둔화하며 '조기 방역의 성공사례'로 거듭나고 있음.
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8014
현대자동차가 코로나19 유행에도 불구하고 북아프리카 시장 교두보인 튀니지에서 빠르게 성장중임. 부랜드와 품질에 대한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올해 4월 총 누적 1132대의 승용차를 판매하였으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한 승용차보다 15% 증가한 수치임.
www.theguru.co.kr/news/article.html?no=10874
18일 카타르항공은 앞으로 승무원이 방호복을 입은 상태로 근무하며, 25일부터 모든 탑승객의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할 예정이라고 밝힘. 한편 카타르항공은 단계적으로 노선 운항을 재개할 계획임.
www.huffingtonpost.kr/entry/qatar-air-flight-attendant_kr_5ec4c915c5b62cbfaa2f1d0c?utm_id=naver
사우디아라비아(양서연)
사우디아하비아가 한국의 안심밴드에 관심을 보여 KT를 통해 10만 개 구입을 요청해 수출이 이뤄짐. 이는 안심밴드의 첫 해외 수출 사례로, 수출 규모는 총 9억8000만원에 달함. 사우디 외 3~5개국이 현재 코트라 등을 통해 안심밴드 수출을 논의 중임.
news.joins.com/article/23781277
사우디 비전 2030은 경제와 사회, 문화 등 전 영역을 아우르는 장기적인 국가 혁신 전략으로 사우디 왕세자가 주도하는 경제개발위원회가 추진 중인 사업임. 구체적으로 실업률 하락, 여성 노동시장 참여율 상승, 비석유부문 수출 GDP 비중 확대, 2020년 일자리 9만개 창출, 중소기업 금융지원 확대 등의 내용을 담고 있음. 실제로 비석유 경제부문 확대, 여성 운전 허용, 대중문화 개방 등 일정 부분 성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남.
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0052216365116286
지난해 말 미국 플로리다주 해군 항공기지에서 총기 난사 테러를 벌이다 사살된 사우디군 장교와 알카에다의 연관성을 입증할 자료를 확보했다고 미국정부가 밝힘. FBI는 휴대전화를 분석한 결과, 그가 늦어도 2015년에는 과격론자가 됐으며 그 이후로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지부와 결탁한 것으로 보인다 밝힘. 당시 테러로 미 해군 3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으며, 해당 사우디군 '알삼랴니 소위'는 현장에서 사살되었음.
www.yna.co.kr/view/AKR20200519065900009?input=1195m
UAE(차승호)
UAE 내 한국형 원자력발전소 ‘바라카 원전’의 완공을 앞두고 현장에서 4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확인됨. 한국인 3명, 외국인 1명으로 현재 이들에 대한 재검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현지 총책임 측인 '한국수력원자력'은 별다른 방역 조치 없이 나머지 직원들에게 정상출근 지시를 하여 집단 감염 우려를 낳고 있음
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521/101148028/1
21일 두바이상공회의소가 낸 보고서를 따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두바이 내 CEO들 중 70%가 향후 6개월 안에 폐업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옴. 이는 정부의 봉쇄정책(통행, 영업 금지, 국경봉쇄 등)으로 수요가 정체되어 경제활동이 추락한 탓이라 밝힘.
www.yna.co.kr/view/AKR20200522156600111?input=1195m
21일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가 이스라엘을 경유한 UAE의 코로나19 구호품을 거절함. 마이 알카일라 팔레스타인자치정부 보건부 장관은 UAE의 구호품이 팔레스타인과 조율되지 않았다고 밝히며, 이스타엘과 UAE의 관계 개선을 위한 도구로 보아 거절하였음. 지난 19일 에티하드항공은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벤구리온 국제공항에 구호품 16t을 실은 화물기 1대를 직항으로 운항했으며, UAE가 이스라엘로 직항기를 운항한 적은 이번이 처음임.
www.yna.co.kr/view/AKR20200522002300079?input=1195m
'네피제 활동/MENA > 정규 세미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06/28] 9차 세미나 (0) | 2020.07.03 |
---|---|
[2020/05/31] 8차 세미나 (0) | 2020.07.03 |
[2020/05/17] 6차 세미나 (0) | 2020.05.23 |
[2020/05/10] 5차 세미나 (0) | 2020.05.22 |
[2020/04/19] 4차 세미나 (1)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