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 김지은, 윤종민, 박희수, 오현석, 최형준, 이아현, 차승호, 전재훈, 이은실
발제 : 본격적인 1차 발제 시작 이전, 지난 2018년 학회원 연구에 대한 피드백과 장단점 분석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뉴스쉐어링 :
1. 요르단에서 수백명의 시민들이 일자리 요구를 위해 행진하는 형태의 집회가 발생함. 360km가량 떨어져있는 도시로부터 암만에 위치한 왕궁까지 7일동안 행진하고 있음. 이들은 청년 실업자들로, 청년들에게 국영기업 일자리를 제공할 것을 요구함.
https://www.aljazeera.net/news/politics/2019/2/20/سيرا-على-الأقدام-شبان-أردنيون
2. 현재 중동의 여러 국가들 중에서도 UAE가 앞장서서 세계 각국의 스타트업을 유치하고 있음. UAE는 두바이 현지에 데스크를 설치한 4개국 (한국 뉴질랜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를 중심으로, 법인세 면제, 지분소유 100퍼센트, 해외송금자유 등 스타트업에 매력적인 조건을 제시하고 있음.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21201071827100001
3. 지난 2월 26일, 트럼프가 이란을 주시하기 위해서 계속 이라크에 군사를 주둔시키겠다고 발표함. 이란은 이라크의 강력한 동맹국이지만, 오히려 이란 내부에서는 이란 혼자 ISIL, DAESH 등의 테러집단을 다룰수 없다는 논쟁으로 인해 이 조치에 대해 크게 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됨.
https://www.aljazeera.com/news/2019/02/trump-troops-iraq-keep-eye-iran-190226091503378.html
4. 인도령 잠무 카슈미르에서 인도-파키스탄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음. 지난 2월 14일 테러로 인해 인도 경찰 40명이 사망한 사건이 그 발단이었는데,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 '자이슈에 무함마드'는 자신들이 테러사건의 배후임을 주장했으나 인도 정부는 파키스탄 정부가 그 뒤에 있을 것으로 보고 파키스탄에 대한 공격을 지속하고 있음. 2월 26일에는 인도 공군이 통제선 넘어 파키스탄 공격하여 300명 이상 사망하기도 함.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9/mar/02/kashmir-india-pakistan-stand-off-war-border
5. 알제리에서 부테플리카 대통령의 5선 출마에 반대하는 대학생 시위가 일어나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고 있음. 부테플리카 대통령은 알제리가 겪었던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조정하며 출마했으나, 현재 20년간 장기집권을 해오고 있음. 국민들은 보다 근본적인 사회변화 필요성, 향후 대리정치의 가능성 등을 이유로 그의 집권을 반대함.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517096#cb
6. 이스라엘 법무장관 멘델블리트가 총리 네타냐후를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하겠다고 밝힘. 네타냐후는 여러 명의 언론인 및 경제 거물 등과 접촉하여 금품을 받은 혐의, 사기 및 배임 혐의를 받고 있음. 총리직 5선에 본 기소가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네타냐후는 이것이 정치적 마녀사냥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임.
https://www.haaretz.com/israel-news/elections/netanyahu-to-be-charged-with-bribery-pending-hearing-1.6961872
7. 사우디 아라비아가 미국 시민권자를 고문한 정황이 드러남. 그는 지난 2017년 11월 무함마드 이븐 살만 왕자의 명령으로 구금된 사람들 중 한 명이며 수면을 방해하거나 전기충격을 가하는 등의 고문이 가해진 것으로 밝혀짐. 2018년 10월 살해당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는 작년 1월 트위터에서 해당 인물을 구금한 사우디 정부를 비난하기도 했음.
https://www.aljazeera.com/news/2019/03/saudi-arabia-reportedly-tortured-citizen-nyt-190302191550541.html
토론 : 이슬람의 눈으로 본 세계사(타밈 안사리) 제 1장, 중간 세계 : 중간세계라는 단어, 그리고 중동이라는 단어에 기반해서 우리가 지금까지 중동을 인식하는 방식이 어떠했는지에 대해 고찰함. 이슬람 이전에 존재했던 여러 왕조와 종교의 다양한 정체성에 대해서 논의함.
회의 : 아랍어 스터디, 프랑스어 스터디 개설 건
'네피제 활동/MENA > 정규 세미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3/17] 3차 세미나 (0) | 2019.03.27 |
---|---|
[2019/03/10] 2차 세미나 (0) | 2019.03.18 |
[2019/02/24] 2019-1 OT (0) | 2019.03.03 |
[2018/11/25] 정기 세미나 (0) | 2018.12.14 |
[2018/11/18] 정기 세미나 (0) | 2018.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