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피제 활동/MENA/정규 세미나 일지

[2019/09/22] 2차 세미나

참석자 : 윤종민, 김지은, 강보훈, 김보경, 송민영

 

독서 발제 : 김지은 - '1장: 현대 이슬람주의의 탄생'

2차 세계대전 이후 1979년 이전까지 중동 각지에서 시작된 민족주의와 이슬람주의, 세속주의 등 각종 이념들의 전파와 그 결과를 네 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이스라엘, 이란) 기준으로 정리함.

독립 이후 중동에서 영국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무엇을 계기로 이집트에서 아랍 민족주의가 탄생하였는지, 1979년 이란 이슬람혁명에는 어떤 명분이 있었는지 등을 중심으로 토론을 진행함.

 

뉴스쉐어링 : 

 

사우디아라비아(강보훈)

- 미국이 지난 14일 발생한 아람코 원유시설 공격에 대한 방어적 조치로 리야드 동남부 지역에 미군 수백명을 파견함. 또한 무인기를 이용한 추가 공격에 대비해 요격 미사일을 설치함.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9464069

 

모로코(김보경)

- 미국이 모로코에 약 985백만 달러 규모의 무기 판매를 승인함. 모로코는 자국 무기의 60%정도를 미국으로부터 조달해 왔으며, 미국 역시 모로코를 비-NATO 동맹 외교정책과 북아프리카의 정치질서 유지에서의 주요국으로 간주함. 

https://www.moroccoworldnews.com/2019/09/282507/us-state-military-sale-to-morocco/

- 모로코, 나미비아, 브라질의 원유 시장을 조사하는 영국 기업 Chariot Oil & Gas가 최근 보고서에서 모로코의 원유 및 가스 보유량을 기존 예상치보다 높게 평가함.

https://www.moroccoworldnews.com/2019/09/282961/british-company-significant-gas-discovery-morocco/

 

이집트(윤종민)

- 알자지라 소속 이집트인 기자 마무드 후세인이 9월 19일 기준으로 1천일간 이집트에 구금되어 있으며, 알자지라는 이집트에 그의 빠른 석방을 요구함. 이집트는 2013년 쿠데타 이후 많은 알자지라 언론인을 체포해 왔음.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091123

- 지난 21일 엘-시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을 비롯한 이집트 주요 도시에서 발생함. 수백명의 사람들이 시위에 참가했으며, 진압 과정에서 최루탄 등이 사용되었고, 이후 최소 74명의 참가자가 연행됨.
https://www.youtube.com/watch?v=xiMPYsAiBOw

 

UAE(송민영)

- UAE가 미국이 주도하는 호르무즈 호위 연합에 참여하겠다는 결정을 밝힘. 미국은 지난 6월 호르무즈 해협에서 이란의 공격을 받은 사건 이후 동맹국을 중심으로 해당 연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목적은 해상위협행위 감시와 선박 방어임.

https://m.yna.co.kr/view/AKR20190919126800111?section=search

- 한국전력과 바라카원컴퍼니가 제3국 원전시장 진출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함. 본 MOU는 바라카에 원전을 건설하는 데서 한 단계 나아가 해외 시장에 원전을 건설하고, 이를 유치 및 관리하는 분야에까지 양국이 협력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

https://m.yna.co.kr/view/AKR20190910116500003

 

터키(김지은)

- 터키가 지난 7월에 이어 러시아의 S-400 미사일 2차 인수를 완료함. 미국은 수 달간 이러한 수입 조치를 반대해 왔으며, F-35전투기 수출을 중단하기도 함. 그러나 터키는 향후 러시아와 미사일 공동생산까지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힘. 

https://www.voakorea.com/a/5085234.html

 

주제세미나 : 2018-1, 2018-2, 2019-1 연구 소논문을 읽으며 각자 흥미로웠던 연구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