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 김지은, 음승현, 이설아, 이은수, 장민국, 정준희, 조덕희
발제 : 이설아 - 동아시아 3국 언어사에서 비춰 본 아랍어의 양층언어 해소 방안 제시
한·중·일 3국의 양층언어현상(diglossia) 해소의 특징에서 추론해 본 아랍어의 양층언어 해소방안과 이점에 관한 독자연구
뉴스쉐어링 :
1. UN의 모술 파견 조사가 Daesh의 화학 무기 소유가 증거 없음으로 마쳐져 논란. 지난 3일, 화학 무기로 인한 민간인 18명이 발생한 후라 더욱 조사 결과에 의문.
2. 미 중앙정보부 조셉 버펠이 이란이 미국 안보에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 이란이 시리아와 이라크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트럼프 정부는 오바마 전 정부의 대이란 정책을 강력 비판.
3. 아모레퍼시픽에서 이번에 중동 진출 계획 발표. 빠르면 올해 이란과 터키에 직접 진출 예정. 의료관광과 연계하여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예정.
4. 6일, 美 새로운 반이민 행정 명령. 전 행정명령과 비교했을 때 이라크가 제외되고, 시리아를 무기한 입국 금지에서 60일 정도로 입국 제한으로 변경.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 인권적인 명령이라는 것은 변함 없음.
5.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 여성들이 생업 전선에 나서고 있음.
6. 사우디 국왕 살만 빈 압둘라 2세가 일본으로 순방. 英 BBC는 이번 순방을 사우디가 국영 석유회사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美에 대항하기 위함이라고 평가.
7. 2월 말 엘론 머스크 테슬라 회장이 UAE 두바이에 테슬라 전기차를 진출하겠다는 발표. 석유 생산국에 전기차 진출이 성공적일지 귀추가 주목됨.
8. UAE에 외국인 커플이 체류 중, 여성의 혼전임신 사실이 밝혀져 경찰에 구속됨. 외국인에게도 샤리아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세계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음. 현재 커플은 보석 석방 중.
토의 : 《중동은 지금 불타고 있다》 - 유달승, 1-2챕터
1. 중동에서의 미국 책임론. 미국의 과거 중동 개입의 실 이유와 명분의 괴리.
2. 미국의 대 중동 정책이 비전을 가지고 있는가? - 행정부가 달라지면 정책도 변경되는 기조.
3. 옛 근동이 현재 중동의 상징이 되었다는 의미있는 지적에 주목할 필요.
4. 카스피해 중심의 서술 - 카스피해에 관한 영토 분쟁도 생각해 봐야.
회의 :
1. 한국장학재단 꿈 도전단 대비 팀 빌딩
'네피제 활동/MENA > 정규 세미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3/26] 정기 세미나 (0) | 2017.03.28 |
---|---|
[2017/03/19] 정기 세미나 (0) | 2017.03.22 |
[2017/03/08] 정기 세미나 (0) | 2017.03.08 |
[2016/12/04] 정기 세미나 (0) | 2016.12.05 |
[2016/11/27] 정기 세미나 (0) | 2016.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