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 윤정연, 이설아, 이정환, 장민국, 정준희
발제 : 장민국 - 이란의 국가체제와 정치구성
뉴스쉐어링 :
1. 작년에 우리나라 청년 3명(남2, 여1)이 Daesh 가담을 시도했었던 사건이 최근 보도됨. 외교부는 여권 발급을 거부하고 출국을 제한함.
2. 시리아 휴전 협정 결렬 후 25일 알레포 지역에 시리아군의 대대적인 공습이 일어남. 이 공습으로 민간인 최소 2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 26일 반기문 UN 사무총장은 시리아 공습을 비난하는 성명을 발표.
3. 팔레스타인 수반 마흐무드 압바스가 대통령을 맡기 이전에 러시아 KGB 특수요원(암호명: 두더지)으로 활동했었다는 의혹이 제기됨. 마흐무드 압바스는 푸틴과 동기이며, 시리아에서 수학할 때 러시아로부터 지원을 받았던 전력이 있음. 현재 팔레스타인 정부 측은 이를 공식적으로 부정.
4. 지난 달, 체첸 공화국의 그로즈니에서 푸틴의 주재 하에 국제 이슬람 회의가 열림. 이 회의에서 중동 지역의 만연한 테러가 와하비즘에서 비롯된 폭력이라 정의하며 공개적으로 사우디를 비난하는 목소리 나와. 이집트 또한 이러한 의견에 동조. 이에 사우디 와하비파들의 반발 심화. 수니파의 균열이 사우디에서 다른 국가로 패권이 넘어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전문가들 관측.
5. 건국대가 팔레스타인의 폴리텍 대학교와 바이오산업육성을 위한 ODA 체결. 여수의 한영대학에는 사우디 학생 13명이 방문해 석유 및 천연 가스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협정 체결.
6. 터키 쿠데타의 배후로 재미 이슬람 학자 귈렌이 지목됨. 귈렌의 수사 과정에서 일련 번호가 F로 시작하는 미 $1 지폐가 다수 발견. 이 지폐들이 쿠데타 주동자들 사이에 암호로 통한다는 설이 생겨 터키 내부에서 일반 시민들이 F로 시작하는 $1를 태우거나 버리거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음. 전체 $1 지폐 114억 중 10억장 정도가 F로 시작한다고 함.
7. 터키 정부가 시리아 난민 100만 명에게 월 4만원 정도의 생계비를 지원함. EU에서는 크즐라이 카드(적신월 카드) 프로젝트를 발표할 예정. 이 프로젝트에 따라 터키 정부의 공식 난민 캠프 TPC 밖에 사는 시리아 난민 중에서 100만 명에게는 내년 1분기부터 크즐라이 카드가 지급될 예정.
8. 9/28에 OPEC 회의에서 러시아 사우디 이란 세 국가를 중심으로 유가 합의가 열릴 예정. 현 배럴당 1.84 달러가 감소한 저유가로 인하여 중동 경기 침체 때문에 생산량 감소가 주 논제로 예측됨. 사우디는 이에 반대의견을 가지고 있음.
9. 중국 위안화와 사우디 리얄화를 달러화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환전 가능해짐. 아랍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10. 서양에서 두바이 재벌 2세들의 사치스러운 인스타그램에 대한 비난이 생기고 있음.
11. 호주 총리의 Daesh 패배 예측에 언론서 이라크 때의 부시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였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음.
토의 : 생략.
회의 :
1. 아랍어 분과학회 2개 생성.
2. 인터뷰이 선정 및 일시 확정.
3. 과거 학회원들 명예회원 추대 안건 논의, 추대.
4. 페이스북 채널 컨텐츠 논의.
'네피제 활동/MENA > 정규 세미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6/10/09] 정기 세미나 (0) | 2016.10.24 |
---|---|
[2016/10/02] 정기 세미나 (0) | 2016.10.03 |
[2016/09/18] 정기 세미나 (0) | 2016.09.20 |
[2016/09/11] 정기 세미나 (0) | 2016.09.14 |
[2016/09/04] 정기 세미나 (0) | 2016.09.13 |